물리치료사

어깨의 움직임이 아프고 움직임이 없을 때 유착성 관절낭염(동결견, 오십견)을 의심해보자. 본문

건강생활탐구/질환지식탐구

어깨의 움직임이 아프고 움직임이 없을 때 유착성 관절낭염(동결견, 오십견)을 의심해보자.

재활운동 2021. 3. 1. 19:18
반응형

안녕하세요.

오늘 알아볼 어깨 질환인 유착성 관절낭염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흔히 우리 나라에서는 오십견이라고 

어깨 유착성 관절낭염(동결견)은 외상성으로 발생하지 않습니다. 이 질병의 원인은 불분명하며 다양하게 나타납니다.
예를 들면 자율신경계 이상, 오랜 시간 동안 어깨의 고정, 골절, 당뇨병, 고혈압 등이 있습니다.

 

<특징>

1. 통증이 심하다.

2. 질병이 진행성을 지닌다.

3. 어깨의 능동적, 수동적 관절범위가동에 제한이 있다.

4. 손을 머리 뒤나 등 뒤로 움직이기가 힘들며 아프다.

5. 낮보다 밤에 많이 아픈 특징

 

일차성이차성의 동결견의 특징이 있습니다.

일차성 동결견 다른 질병 없이 단독적인 어깨부위의 통증과 관절가동범위(ROM)가 감소
이차성 동결견 외상 후 또는 특정 질병으로 인해 나타나는 것이 특징

이차성 동결견은 주로 당뇨병이나 어깨 주변의 골절, 근육 파열로 인해 생길 수 있습니다.

 

일차성 동결견은 총 3단계로 이루어집니다.

 

1단계 : 동결단계(통증)

  - 대략 0~3개월 지속

  - 어깨 주변 조직들이 경직

  - 어깨 통증 유발

  - 밤에 통증이 나타나는 특징

 

2단계 : 관절 유착 및 제한 단계

  - 대략 3~9개월 지속

  - 통증이 줄어듬(움직일 때 끝범위에서 나타남)

  - 경직은 남아있음

  - 어깨 바깥 돌림 할 때 운동범위의 감소(손을 머리 뒤로 가져가려고 할 때 잘 되지 않는다.)

 

 3단계 : 해동 단계

  - 대략 15~24개월 지속

  - 관절가동범위 증진

  - 어깨 관절 기능이 호전 되는 시기

 


그렇다고 우리가 자연적으로 회복 되도록 가만히 두어야하는가??

 

그것이 정답은 아니다.

 

 운동을 통해서 어깨의 기능 회복을 증진시키고 유착되어 있는 조직들과 관절주머니에서 섬유모세포의 과증식을 억제 하기 위해서는 어깨의 운동이 필수적이다. 

 

그럼 치료와 운동은 어떻게 이루어지는걸까?

 

 먼저 어깨 기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진통제(소염제)나 주사, 물리치료실에서 전기치료, 열치료, 관절운동, 마사지, 스트레칭, 강화운동 등 다양한 전략이 있다. 수술적 중재로는 관절낭 확장, 구축 수술 등이 있다. 소염제를 먹으면서 운동치료를 한다면 조금 더 회복 증진에 도움이 많이 될 것이다.

 물리치료 또는 운동치료를 할 때에는 반드시 통증이 나타나지 않는 범위에서 시행하여야 한다. 만약 통증을 유발할 정도로 스트레칭이나 근력 운동을 한다면 어깨의 병은 더욱 활막의 상태를 악화시키고 섬유화를 일으켜 더욱 어깨를 얼어붙게 만들 것이다.


 

<재활 프로토콜>

  - 1단계 : 스트레칭에 중점을 두며 이를 토대로 관절운동범위 증진 목표로 한다.

  - 운동

    1. 진자운동 : 아픈 어깨에 힘을 빼고 축 늘어지는 느낌으로 둔다.

    2. 팔꿈치를 뻗어 벽밀기 하는 동작으로 올린다. (통증이 느껴지는 범위 전까지만 올려서 유지)

    3. 바로 누운자세에서 양쪽 무릎은 들려올린 채 있게 하여 아픈 어깨의 손은 배꼽으로 위치한다. 이 때 어깨가 바닥으로부터 뜨게 되는데 
        어깨를 바닥쪽으로 갈 수 있게 뒤쪽 밀기를 시도한다.

    4. 앞쪽 관절낭 스트레칭 시행

    

  - 2단계 : 어깨관절 동작 향상, 통증 감소, 견갑골 안정화, 회전근개 근력 향상

  - 운동 : 회전근개 강화운동을 시행

     1. 팔꿉관절을 90도 구부리게 하여 벽에 몸을 옆에 붙인채로 등척성 강화운동 시행

     2. 아픈쪽 어깨를 등 뒤로 손을 가게 한다. (통증이 일어나기 전까지의 범위만)

 

  - 3단계 : 어깨 기능 회복, 통증의 해소

  - 운동 : 회전근개 강화, 견갑골 안정화 운동

    1. 지속적인 회전근개 강화를 하여 어깨 관절 범위 증진과 견갑골(어깨뼈)을 안정화 시킬 수 있는 운동을 시행한다.

 

대부분의 운동에서 스트레칭은 30초 정도 유지하는 것이 좋으며 통증이 일어나는 범위를 넘어서서 관절 운동을 하는 것은 좋지 않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