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넙다리네갈래근
- 뇌졸중예방
- 유착성관절낭염
- 재활치료
- 물리치료
- 엉덩근육
- 뇌경색
- 물리치료사
- 비파열성뇌동맥류
- 물리치료사현실
- 큰볼기근
- 균형검사
- 어깨질환
- 재활운동
- 뇌졸중재활
- 동결견
- 신체회복
- 스파르타코딩클럽
- 신경계물리치료
- 뇌졸중
- 균형운동
- 무릎관절
- 뇌졸중증상
- 대둔근강화
- 국가고시준비
- 뇌졸중운동
- 어깨재활
- 뇌출혈
- 대둔근
- 척수손상
- Today
- Total
물리치료사
골절시 주의사항은? 본문
- 골절 시 주의해야 할 몇 가지 중요한 사항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즉시 응급조치
골절의 의심이 들 경우에는 해당되는 부위를 움직이지 않고 안정시키며 즉시 응급조치를 취해야 합니다. 고정을 통해서 부러진 뼈의 안정이 우선이며 감염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합니다.
2. 응급 상황 신호
심각한 통증, 변형된 뼈 형태, 부종, 혈관의 손상으로 인한 피부색 변화 등의 먼저 나타날 수 있습니다. 주변의 도움이 필요로 하며 즉각적인 응급실로 가야만 합니다.
3. 부위 고정
골절된 부위를 움직이지 않도록 하여 추가적인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임시적으로 고정할 수 있습니다.
4. 통증 관리
혈류의 변화로 인해 부종, 열감, 통증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를 완화하기 위해서는 RICE법칙을 따라야 합니다.
- R : 휴식(rest), I : 얼음팩(ice), C : 압박(compression), E : 거상(Elevation)을 사용하거나 진통소염제와 같은 약물을 처방받아 통증을 완화시키는 데에 집중합니다.
5. 영양 있는 식단
영양 있는 식단은 체내 회복 강화에 도움이 됩니다. 기름진 음식을 피하고 풍부한 영양소 섭취와 저하된 근육의 기능을 향상하기 위한 단백질 식단의 섭취가 필요로 합니다. 골절에 좋은 대표적 음식은 바나나, 견과류, 두부, 우유, 멸치 음식 등이 있습니다. 좋지 않은 음식으로는 당이 많은 음식, 고 나트륨, 알코올 같은 음식들은 골절의 회복에 해로운 작용을 할 수 있습니다.
6. 재활 운동 및 물리치료
골절로 인한 뼈의 손상은 수술 재활 운동과 비수술적 물리치료로 나뉩니다. 골절의 정도, 재활의 운동진행에 따라 회복 속도와 기능 회복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 초기에는 관절가동범위를 되찾기 위해서 수동관절 운동을 실시합니다.
- 골절 부위 혈류량을 증진시켜 회복을 도모하기 위해서 원위부의 움직임을 많이 시행해 줍니다. 예를 들어 위팔뼈의 골절이라면 손가락의 움직임을 많이 가져가는 동작, 엉덩관절의 골절이라면 발목의 움직임을 많이 가져가도록 합니다.
- 재활 초기가 지난 아급성기(4일 이후)부터는 능동보조운동을 통해서 골절 주변의 근육을 활성화하기 위해서 근력 운동을 시행합니다.
- 능동보조운동이 완성이 되면 서서히 저항운동 및 플라이오메트릭 운동을 통해 협응성을 동반한 근파워를 향상하도록 합니다.
7. 보조 도구 사용
골절 후 초기에는 독립적인 보행이 불가할 수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목발이나 휠체어, 워커를 통한 보조도구를 사용하여 독립적인 생활에 보탬이 될 수 있습니다. 화장실 이용, 주방의 이용 등 목적 있는 보행이 필요로 할 때에는 손상된 골절 부위의 합병증이 일어나지 않도록 보호를 하기 위해 반드시 보조도구를 사용하는 것을 추천합니다. 보조 도구는 병원에 가까운 의료기기 가게에 판매 또는 인터넷에서 쉽게 구매할 수 있습니다.
8. 추적 검사 및 치료 계획
일상생활 복귀 및 사회 복귀를 위한 중간의 재평가가 반드시 필요로 하며 입원을 마치고 외래를 다니는 경우에도 며칠간 치료를 받으면서 경과 관찰 하는 것을 추천합니다. 뼈 유합의 진행 상태를 확인하기 위해서 정기적인 방사선 촬영이 필요로 하며 뼈의 유합은 정상적인 유합, 불유합, 부정유합으로 나뉘는데 비정상적인 유합이 이루어진다면 또 다른 골절에 대한 합병증이 나타나거나 뼈의 변형된 형태가 남아있을 수 있기 때문에 추적검사를 하는 편이 좋습니다.
9. 신체 활력 유지
충분한 수면으로 신체 활력 유지하는 것도 중요합니다. 간혹 무리한 운동을 하시다가 신체의 활력을 저하시켜 회복에도 영향을 미칠 수가 있습니다.
'건강생활탐구 > 질환지식탐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비파열성 뇌동맥류 환자의 관리 (2) | 2023.10.13 |
---|---|
다발성경화증의 증상과 진단방법 (1) | 2023.10.11 |
뇌졸중 병인학적 분류와 개념 (1) | 2023.10.10 |
폐렴의 유형, 증상, 예방 방법 (3) | 2023.10.09 |
당뇨병의 원인, 증상 및 관리 방법 (4) | 2023.10.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