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Tags
- 스파르타코딩클럽
- 유착성관절낭염
- 척수손상
- 재활운동
- 신경계물리치료
- 대둔근강화
- 어깨재활
- 동결견
- 신체회복
- 무릎관절
- 물리치료사현실
- 넙다리네갈래근
- 대둔근
- 뇌출혈
- 국가고시준비
- 물리치료
- 뇌졸중재활
- 균형운동
- 물리치료사
- 뇌졸중운동
- 어깨질환
- 뇌졸중증상
- 균형검사
- 뇌경색
- 뇌졸중예방
- 비파열성뇌동맥류
- 뇌졸중
- 엉덩근육
- 재활치료
- 큰볼기근
Archives
- Today
- Total
목록기운목 (1)
물리치료사

기운목의 정의 한쪽 목빗근(SCM)의 수축상태로 목이 한쪽으로 기울어진 상태를 말합니다. 원인 선천적 기운목과 후천적 기운목으로 나뉩니다. 자궁 내에 태아의 비정상적인 위치로 인해 혈관이 압박을 받아 근육 내 섬유증이 발생되어 나타날 수 있습니다. 분만 시 근육에 의해서 정맥이 응고 되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목빗근의 근육 섬유의 변성으로 나타날 수 있습니다. 근염, 림프선염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아이의 스트레스, 목뼈의 신경 이상, 연부조직의 외상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발생빈도 여아보다 남아에서 많이 발생하는 사례가 많습니다. 목빗근의 먼쪽 부분의 1/3에서 발생합니다. 증상 환측으로 머리가 기울여지고 반대쪽으로 향해 돌림이 나타납니다. 예를들어 왼쪽 목빗근의 약화가 발생한다면 왼쪽으..
건강생활탐구/질환지식탐구
2023. 12. 10. 09: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