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리치료사

뼈 퇴행성을 알리는 뼈관절염의 신호 본문

건강생활탐구/질환지식탐구

뼈 퇴행성을 알리는 뼈관절염의 신호

재활운동 2023. 12. 15. 00:39
반응형

뼈관절염

정의

퇴행성 관절염, 비후성 관절염, 노인성 관절염, 변형성 관절염 등 통틀어서 정의하면 뼈관절염이 됩니다. 이는 급성염증을 일으키게 하는 관절의 퇴행성 질환으로 주로 많은 관절의 부하로 인한 관절염으로 축적되어 발생하게 됩니다.

주로 중년부터 노인까지 발생하며 남자보다는 여자에게서 발생빈도가 높습니다.

증상

통증 : 하중을 많이 받는 관절 또는 근육에 통증이 발생합니다. 처음에는 윤활막에 자극이 되어서 이후에는 뼈의 표면에 자극받아 통증이 발생하게 됩니다.

밤의 통증 : 아침보다는 밤에 통증이 나타나는 것이 특징적이며 관절의 마찰음, 관절의 변형, 열감, 경직, 근경련, 근 약화 등 다양한 임상적 징후들이 나타납니다.

운동실조, 근력의 소모와 저하 등으로 인한 낙상의 위험 증가가 일어날 수 있으며 심한 경우에는 무릎 전치환술 수술요법을 통한 방법이 있습니다.

시기별 증상

초기에는 가벼운 통증과 관절운동범위 제한이 발생하며 압통이 발생하고 관절의 경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후기에는 골성강직이 나타나며 체중부하 받는 관절에 변형이 생기며 운동의 장애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또한 관절의 경직이 점점 증가하게 되어 근육의 쇠약, 구축, 기형 등 나타나며 관절운동범위가 더욱 증가될 수 있습니다.

특징

뼈에는 연화가 일어나며 연골에 정맥 울혈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또한 관절면, 척추뼈 몸통 가장자리에 뼈돌기가 생성 될 수 있습니다.

윤활액의 분비가 감소되며 나중에는 비후적인 변화가 나타나며 관절주머니에 염증성이 나타나 통증을 유발하기도 합니다.

근육은 통증으로 인해 사용하지 않아 위축성이 나타납니다.

치료

식이요법을 통한 체중감소

통증완화를 위한 표면열 적외선, 부종과 열감이 있는 경우에는 냉찜질, 초음파, 초기에는 능동운동 후 점진적인 능동저항운동

근력강화 대상근육 : 넙다리네갈래근, 엉덩관절 벌림근(중둔근)

스트레칭 대상근육 : 햄스트링, 가자미근과 비복근

주의사항 : 무릎의 하중을 줄이기 위해서 등산, 계단과 같은 경사길은 제한해야하며 하루에 30분 평지에 걷는 운동이 좋습니다. 집에서 누워있을 때 허공에 자전거 타는 동작 등 무릎에 직접적인 하중을 피하며 양반다리자세, 무릎꿇은 자세는 피하도록 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