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리치료사

손목터널증후군의 증상과 관리법 및 치료법 알아보기 본문

건강생활탐구/질환지식탐구

손목터널증후군의 증상과 관리법 및 치료법 알아보기

재활운동 2023. 10. 28. 23:21
반응형

개요

손목터널증후군(수근관증후군)은 손목의 터널인 손목 관절 공간 안에서 정중신경이 압박을 받아 일어나는 손목관절의 신경학적인 질환입니다. 이는 손목굴의 크기가 작아지거나 손목 안에 있는 연부조직의 크기가 비대해지면서 원인을 야기 시킵니다. 이외에도 손목의 반복적인 동작, 오래된 손목의 잘못된 자세, 기형의 손목, 진동에 대한 장노출로 인해 나타날 수 있습니다. 흔히 40~60대 여성에게서 많이 나타나는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검사

1. 손올리기 검사

- 환자는 양 손을 머리 위로 올리도록 하며 저린감이 시작되는 시간을 말하도록 합니다. 이 때 정중신경 위쪽에 저린감, 감각 이상이 나타난다면 손목터널증후군을 의미합니다.

2. 정중신경 압박 검사

- 검사자는 환자의 손목터널을 통과하는 정중신경 위에 30초 정도 압력을 가합니다. 이 때 저린감, 통증이 나타난다면 손목터널증후군을 의미합니다.

3. 수정된 팔렌 검사

- 환자는 손목을 구부려 유지하는 동안 저린감, 엄지손가락의 맞섬 기능의 약화, 통증이 나타난다면 손목터널을 의미합니다.

- 이 검사는 팔렌 검사보다 더 민감하게 반응할 수 있습니다.

4. 역 팔렌 검사

- 환자는 가슴 또는 배 앞에 손바닥을 맞닿게 하고 손목은 펴게 합니다.(기도 하는 자세) 이 때 1분간 유지하며 경과를 관찰합니다. 마찬가지로 저린감, 앞쪽 손목의 통증, 엄지손가락의 맞섬기능 약화가 나타나면 손목 터널 증후군을 의미합니다.

감별진단 : 손목의 통증과 저린감은 손목터널증후군(수근관증후군)과 다른 원인으로 나타날 수 있기 때문에 손목의 감각이상과 통증이 정확한 어디가 원인을 야기 시키는지 원인부를 찾아야만 합니다.

- 흉곽출구증후군(TOS) : 애드슨 검사, 루 검사

- 경추신경근병증 : 목 스펄링 검사

- 상완신경총 신경 이상

- 수지신경압박 검사 : 손바닥과 손가락에 직접적인 압력을 가함으로써 통증이 발생합니다.

- 류마티스관절염

- 반사성 교감신경이영양증 : 이는 피부색, 온도의 변화가 주로 나타납니다.

- 회내근의 티넬 검사 : 아래팔(전완)부위의 압박 검사

증상

흔히 손바닥에서 이상감각이 나타나며 손목에 통증과 저린감, 신경의 통증을 유발하는 찌릿찌릿하며 쑤시는 통증을 느끼기도 합니다. 이런 통증과 감각의 이상은 손을 흔들어보거나 손목 주변에 마사지를 시행하면 통증의 정도가 감소되는 것을 느끼기도 합니다. 또한 손목터널증후군은 야간 통증도 발생하기도 합니다.

재활운동 및 관리 방법(비수술적 치료)

1. 야간 통증이 심한 경우에는 부목을 사용하여 손목을 중립 상태를 유지하는 편이 좋습니다.

2. 전동 기계 사용을 줄이며 컴퓨터 키보드의 사용 시간을 줄여야합니다. 즉, 손의 잡기, 쥐는 힘의 사용을 줄이며 손목을 구부리게 하는 자세를 금기시 하여야 합니다.

3. 평소에 손목 굽힘근을 스트레칭 하는 편이 좋습니다. 문제없는 손을 이용하여 저린감이 있는 손목을 젖혀 스트레칭을 시행합니다.

4. 긴엄지굽힘근, 얕은손가락굽힘근, 깊은손가락굽힘근 힘줄의 활주를 증가시킬 수 있는 운동치료가 필요로 합니다. 손목의 굽힘근과 폄근의 균형있는 근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할 것입니다.

반응형